- thebaleuncoding
암호화는 어떻게 할까?
일산코딩테스트학원 더바른코딩학원입니다.
포털사이트에 로그인을 하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
인터넷 뱅킹, 공인인증서 등을 이용할 때에도
주민등록번호, 비밀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정보들은 네트워크를 거쳐 서버로 전송되는데
인터넷은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공용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다른 사람들이 내 개인 정보를 훔쳐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민등록번호, 비밀번호 같은 중요한 데이터들은 암호화가 꼭 필요합니다.
암호화를 하면 다른 사람이 보더라도 어떤 내용인지 알 수 없게 됩니다.

고대 그리스 시대에도 암호화에 대한 기록이 있습니다.
전쟁 중에 적군에게 들키지 않고 아군에게 전쟁 계획을 전달하기 위해
전문을 암호화하여 보냈다고 합니다.

반면 적군은 상대의 전투 계획을 알아내기 위해 암호를 풀려고 노력했습니다.
맨 처음 암호는 치환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치환은 바꾸어 놓는 다는 뜻입니다.
알파벳으로 문장을 쓸 때 몇 글자씩 앞이나 뒤의 글자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세 글자 뒤의 알파벳을 사용하여 문장을 만든다면
A는 D, B는 E, C는 F, D는 G로 바뀌겠죠?

이러한 방법은 로마의 황제 줄리어스 시저가 가족과 통신할 때
사용한 방법이라고 하여 ‘시저 암호법’이라고 합니다.
이 방법으로 ‘Let’s meet at one’이라는 문장을
‘Ohw’b phhw dw rqh’라고 암호화할 수 있습니다.
더 알아보고 싶나요?
아래 링크로 이동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