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baleuncoding
일산코딩학원 - 논리 연산은 어떻게 할까?
일산코딩학원 코딩테스트학원 더바른코딩학원입니다.

뚜띠는 스마트폰과 노트북이이 가지고 싶어서
엄마에게 사달라고 했고,
엄마는 뚜띠의 영어, 수학 시험 점수가 모두 100점일 경우
노트북과 스마트폰을 둘 다 사주기로 하셨습니다.
둘 중 한 과목만 100점일 경우에는
노트북과 스마트폰 중 하나만 사주기로 하셨습니다.
우리도 뚜띠처럼 무언가를 얻기 위해
조건을 내걸 때가 있습니다.
이처럼 컴퓨터에게 조건을 만들어주면
컴퓨터는 조건을 충족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해서
그에 맞는 행동을 합니다.
컴퓨터가 조건에 따라 행동하기 위해 판단하는 것을 논리 연산이라고 합니다.
'2<1', '5<6'과 같은 논리 연산이 있습니다.
그런데 1은 2보다 작으니까 '2<1'은 거짓이고,
'5<6'은 참입니다.
1, 2, 5, 6과 같은 것들을 피연산자라고 하고,
참일 경우 1, 거짓일 경우 0을 사용하여 논리 연산 결과를 나타냅니다.
논리합 OR
논리합은 '또는'을 의미하고, +로 표현합니다.
입력값 중 참이 한 개 이상이면 결과값이 참이 되는 논리입니다.
예를 들어 놀이공원의 입장료가 '나이가 8세 미만이거나 65세 이상이면 무료'라고 했을 때
이를 논리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입력이 두 개일 경우 논리합의 연산은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
각각 00, 01, 10, 11이 입력값일 경우 논리합 연산 결과입니다.
#논리연산은어떻게할까?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나요?
아래 링크로 이동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