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 thebaleuncoding

트리 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요? - 일산자료구조

일산자료구조 일산코딩학원 더바른코딩학원입니다. ​ ‘Tree’는 나무를 뜻하는 영어 단어입니다.


나무는 어떻게 생겼나요? 제일 아래 뿌리가 있고, 위로 갈수록 가지들이 나뉘어 지고, 가장 위에는 잎사귀와 열매들이 많이 달려 있습니다. 나무처럼 자료가 가지들로 나뉘어 뻗어 나가는 계층 구조를 트리라고 합니다. 나무는 뿌리가 가장 밑에 있고 위로 갈수록 가지들이 나뉘어 지지만 트리는 나무와 반대로 뿌리가 가장 위에 있고, 아래로 갈수록 자료가 나뉘어 집니다. 트리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월드컵과 같은 토너먼트 방식의 운동 경기를 할 때 위와 같은 이미지를 본 적이 있을 겁니다. 가장 아래에 있는 32강에서부터 승리하면 16강전, 8강전, 4강전, 준결승전, 결승전으로 진출합니다. 트리는 리스트, 스택, 큐처럼 1:1 관계의 선형 구조가 아닌 1:n 관계의 비선형 구조입니다. 그리고 계층 관계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계층형 자료구조이기도 합니다. 다음은 곰곰이네 가계도입니다.



가계도에서 선은 부모 자식간 관계를 나타냅니다. 곰곰이에게는 자식이 세 명 (뚜뚜, 뚜또, 뚜띠), 뚜뚜에게는 자식이 두 명 (쿠마, 쿠미) 있습니다. 그리고 뚜또와 뚜띠에게는 자식이 각각 한 명씩 (쿠쿠, 쿠키) 있습니다.. 같은 부모를 가진 자식들은 서로 형제 관계입니다. 자신과 연결된 선을 따라 위로 올라가며 만나는 사람들은 자신의 조상입니다. 쿠마의 조상은 뚜뚜, 곰곰이가 됩니다. 반대로 자손은 자신과 연결된 선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 만나는 사람들입니다. 곰곰이의 자손은 뚜뚜, 쿠마, 쿠미, 뚜또, 쿠쿠, 뚜띠, 쿠키입니다. 트리 구조는 이와 매우 유사합니다.




#트리

더 알아보고 싶나요?

아래 링크로 이동하세요.

더 많은 내용 보기

조회수 71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