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바른코딩학원
프로토콜(Protocol) 이란?

프로토콜은 컴퓨터간 정보를 주고 받을 때 사용되는 통신 규칙입니다.
예를 들어 A와 B 두 사람이 손짓 신호를 미리 정해놓고, A가 B에게 약속된 손짓 신호를 보내면 B는 예정된 행동을 한다고 합시다. 이 때 A와 B가 약속한 신호를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손을 하드웨어, 특정 움직임을 소프트웨어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은 신호 규칙 뿐만 아니라 어떤 물리적 장치라는 규칙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프로토콜은 IP와 TCP가 있습니다.
IP(Internet Protocol)라고 불리우는 프로토콜은 여러 규칙들이 있습니다. 먼저 패킷이라는 데이터 단위로 신호를 주고 받습니다. 패킷은 내가 주고 받을 실질적인 데이터를 일정 단위로 쪼개 둔 것을 뜻합니다. 그리고 IP에는 통신을 위한 장치들이 IPAdress(아이피주소)라는 고유ID를 가진다는 규칙이 있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은 현재 IP 버전 4 (IPv4) 프로토콜(통신 규칙)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에 연결 시킬 장치가 너무 많아져서 아이피 주소 최대치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곧 모든 장치들은 IPv6 버전의 프로토콜을 인터넷에서 쓰기 시작할 예정입니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IP보다 세부적인 통신 규칙입니다. IP의 규칙을 지키면서 패킷을 어떤 방식으로 전송할지에 대한 내용이 추가된 프로토콜입니다.
TCP 통신 규약은 IP통신 규약에서 전송 방법에 대한 내용이 추가된 것입니다. TCP / IP, 이 두 개의 프로토콜은 인터넷 통신을 할 때 가장 흔히 쓰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항상 세트로 불려집니다.
HTTP는 TCP / IP를 이용하여 웹 문서를 전송하는 통신 규칙입니다. 내 웹 브라우저에서 네이버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것은 한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로 접속하여 통신하는 것과 같은 말입니다. 클라이언트가 웹 서버에 접속하고, 웹 페이지를 요청하면 서버가 클라이언트로 웹 문서 내용을 전달해줍니다. 이런 규칙이 HTTP입니다. 네이버 홈페이지에 접속할 때 'http://naver.com' 맨 앞에 붙여주는 것이 프로토콜 이름입니다.